Friday, August 22, 2014

[MJ's] 30대의 우정이란




어느새 한국 나이 서른 셋, 만으로는 서른 하나. 누군가에게는 올드하지만 누군가에게는 찬란한 나이, 나 스스로는 제대로 된 인생을 만들어 갈 발구르기를 할 수 있는 나이라 생각한다.



지금 내 카톡에는 친구들과 소통하는 그룹창이 여럿있다. 중3친구들/ 독서실 패밀리/ OO대01학번/ OO대02학번/ OOO 4인방/ OO투어/ OO회 등 정말 소소한 개인사, 잡다한 정보, 연예계 소식까지 공유하는 20년지기 친구들 모임부터 정치적 의견과 불공정한 사회에 대한 지탄이 난무한 대학교 동기 모임, 오랜 기간 함께 일하면서 볼 꼴 못볼 꼴 다보고 가족처럼 친해진 전 직장 비밀사조직까지. 각 그룹마다의 역사가 달라서 그런지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는 독특한 캐릭터의 사람들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문득 돌이켜보면 이렇게 유쾌하고 마음 따뜻한 사람들이 내 주변에 있어서 참 행복하고 럭키하다고 느끼게 된다. 나라는 아이는 사람들 만나는 걸 좋아하고 인연이 소중하다고 생각하니깐. :)

하지만 모두의 변명처럼 나이가 들수록 일에 치이면서 개인적으로 활용할 수 시간은 점점 줄어들고, 새로운 사람들과의 네트웍도 필요하고 어떤 면에서는 거친 대인관계에 실망하는 일도 생기고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옛친구들과 공유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었다. 더군다나 30대에 접어들며 각자의 삶에 더 무게가 실리고 업무 분야도 다르고 주거지를 옮기는 경우도 생기고 공통사도 변해가면서 점점 멀어져간 친구들도 있고, 세월이 흘러가는만큼 자기만의 울타리를 높이세우며 본인도 모르게 주변을 밀어내는 친구들도 보인다. 그나마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톡 등이 있어 소식이라도 확인하며 '잘 지내는구나'하지만, 남는게 시간뿐이라 매일을 함께 하던 우리의 날들에 비하면 한참 못 미친다.



나의 BFF

몇주 전 아침 이지연이 링크(http://hellogiggles.com/bff-thirties-30s)를 하나 보내줬다. (그녀는 명백히 나의 BFF이지만 나는 그녀의 이름을 성까지 붙여서 굳이 '이지연'이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 아니면 영문 이름 Jenny, 혹은 가장 최근 그녀의 별명인 미달 or Ajumma. 음, 이건 아마도 나에게 인식된 그녀만의 정체성 측면에서 비롯된 것 같다.)

링크는 30대의 우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읽다보니 이지연이 왜 이 글을 보내줬는지 단번에 알겠다. 글쓴이가 말하는 내용은 현재 우리의 상황과 꽤나 비슷하다. 이지연은 현재 뉴욕, 나는 싱가폴에 거주 중이다. 우리는 세상만사 즐거운 중2때 만나 고등학교도 함께 졸업했다. 서로 다른 대학교에 진학하고도 우리는 매일 연락하며 서로의 일상을 나눴고, 또 매년 한두번씩은 단둘이 국내/외 여행을 함께 했으며 서로의 친구들을 공유했다. 그러나 사회생활을 시작하며 교류의 횟수는 줄어들었고 4년 전 그녀가 유학길에 오르며 우리는 (지리적으로) 멀어졌다. 그만큼 연락도 뜸해졌고 힘든 일이 있어도 그녀와 공유하기엔 코앞에 놓은 일들을 빨리 헤쳐나가기 바빠 쉽지 않았다. 처음에는 이런 시간들이 정말 우정이 멀어진걸까 싶은 적도 있었지만 우리는 하루, 일주일, 한달 혹은 서너달만에 연락해도 서로가 알던 그 강민정과 이지연의 에너지 그대로 금새 깔깔대기 시작한다. 같은 동네, 비슷한 가정환경에서 자라 모든게 비슷했던 우리지만 현재는 서로의 업무분야, 관심사, 연애방식, 어울리는 써클 등 삶의 전반에서 상당히 다른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서로에 대해 인정하고 이해하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서로를 북돋아주는 새로운 관계의 BFF를 만들어가고 있는 듯 하다.



2013년, 나는 스스로에게 1년의 휴직기간을 선물했고 그녀가 있는 뉴욕에 머물머 남은 여생동안 평생을 곱씹을 추억거리를 만들어냈다. (나는 이미 이전에도 그녀를 만나기 위해 2번이나 뉴욕을 방문했었다.) 이 1년의 시간동안 우리는 니거 내거 경계없이 서로를 중심으로 공통의 관심사, 커뮤니티, 이벤트 등 거의 대부분의 사생활을 공유하며 17년 전, 순수하고 파릇하고 철없는 유머로 가득했던 그시절로 돌아갔다.

관계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가 얼마나 다른 삶을 살아가고 변화무쌍한 환경에 둘러쌓여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시간의 무게만큼 서로의 신뢰와 사랑의 두께도 커졌다. 여자 형제가 없는 우리에게 서로는 피를 나눈 자매 같은 존재이기에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항상 응원하고 잘못된 건 다그칠 준비가 되어있다.



2013 @ Whynot Coffee in NY




Kayaking in Brooklyn


At My 31 Birthday Party
In Philly


내가 좋아하는 우리의 모습

1. 나는 항상 그녀를 늙고 못생겼다고 놀리곤 하는데 그녀는 항상 'ㅋㅋㅋ' 사운드의 웃음으로 화답하며 그녀의 못생김을 인정한다.

2. 심지어 그녀의 약혼자도 나에게 그녀의 못생김을 불평하곤 한다. 그에 대한 동정심을 구하며. (이제와서 후회해도 늦었단다.)

3. 가족을 위한 일방적 희생보다는 자신을 먼저 사랑할 줄 알고 커리어 발전을 함께 추구하고자 하는 공동의 사고를 바탕으로 하는 우리의 프리 토킹! 가끔 나보다 더 진보적일 때가 있어 당황스럽기도 하다.

4. 그녀는 또 지나친 오픈마인드 주의자이기도 하다. 물론 더할 나위 없이 나에게 좋은 자극제가 된다.

5. 모순적이게도 둘다 게으르지만 활동적이다. 부지런함과는 거리가 있지만 아웃도어 활동을 좋아한다. 하얀 피부를 유지하고자 햇빛을 피하는 행동 따위는 개나 줘버린다.

6. 나의 말도 안되는 헛소리를 다 들어준다(물론 정말 쓸데없는 말에는 듣는 둥 마는 둥 하지만). 나의 모든 비밀을 다 알고있는 지구상 하나 뿐인 존재.

7. 둘이 뭉치면 힘들고 어려운 상황도 웃음으로 승화시키는 초긍정 에너지가 발산! 10년 전 동해 여행에서 2인용 자전거를 타다 곡예 수준으로 넘어져 전신에 피가 난자했을 때도, 2009년 한겨울 미국 워싱턴 시내 한복판을 무거운 캐리어를 2개씩 끌고 살을 파고드는 추위 속에 30분 넘게 방황할 때도 우리는 항상 웃고 있었다.

8. 덩치도 남자, 힘도 남자! 체력이 좋아서 왠만해선 힘들다고 투덜대지 않는다. 무거운 짐도 각자 알아서 척척! (나는 반남자라고 표현한다.)

9. 덩치 이야기가 나와서 말이지만 우리는 키도 크지만 머리도 꽤나 크다. 하지만 같이 다니면 서로 보완(?)해주니 든든하다.




어떤 이는 말한다. 나이가 들면 갓 사귀었어도 옆에 있어 언제든 함께 할 수 있는 친구가 BFF라고. 하지만 가까이 있어 소중한 사람도 있지만 멀어서 더 소중한 존재도 있다.

앞으로 우리는 그녀의 결혼과 함께 서로 더욱 더 다른 환경 속에 살아갈지도 모른다. (그녀의 약혼자는 인도사람이다.) 걱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더 신이난다. 그녀를 통해 나는 더 새로운 세상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캐릭터는 변하지 않지만 변화하는 삶 속에서 더 깊은 신뢰를 쌓고 다양한 경험을 통한 노련함으로 더 행복한 인생을 즐길 수 있을테니깐.








Tuesday, June 17, 2014

[Event] Affordable Art Fair Singapore (May 2014)




Affordable Art Fair Singapore
25 May 2014


비록 내 스스로가 아티스트는 아니지만
어릴 때부터 언제나 예술에 대한 동경만은 가득했다.

그림 그리는 것도 좋아하고, 꼬물꼬물 손으로 뭔가 만들어내는 것도 잘 하고,
건축을 전공하면서 드로잉하고 모형만드는 작업할 때도 너무 행복했다.


싱가폴 와서 심심하던 참에 아트 페어 소식을 듣고
손꼽아 기다렸다가 바로 고고씽~~~!!!






F1 Pit Building이 접근성이 좋지 않아 그런지 역시 다들 차를 갖고 왔다는.

일단 도착하자마자 입구에서 줄을 서서 티켓을 사고
2층으로 입장하여 관람 시작!




뉴욕, 런던, 암스테르담, 홍콩 등에서도 열리는 이 아트 페어는
'Affordable' 타이틀 처럼 구입 가능한 범위(S$10,000 이하)의 작품들을 전시, 판매한다.

그래서 그런지 S$15의 입장료와 불편한 접근성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꽉 찼다.
아이들을 대동한 가족 단위의 그룹도 많았고.


전세계 갤러리들이 참여했는데 한국 갤러리도 여럿 보이고
한국 아티스트들 작품들이 팔리는 것들도 목격해서 나름 뿌듯~~~ :)))


그리고 인상적이었던 작품들.

Elvis by Nikki Douthwaite
Marilyn by Nikki Douthwaite

by Ric Tse

위에는 레고를 이용해서 사진 작업(Legography)을 하는 홍콩 아티스트 'Ric Tse'의 작품인데
시리즈물로 소장 욕구를 자극해서 그런지 빨간 스티커들이 많이 붙어있었음.


아래는 Alexander McQueen 컬렉션을 위한
Floral Skull 디자인으로 유명한 'Jacky Tsai'의 대형 작품.

by Jacky Tsai

Artheline by Arnaud & Adeline Nazare-Aga
Artheline by Arnaud & Adeline Nazare-Aga






여러 작품 중서도 가장 인상적이었던 거는
UK 작가 'Louise McNaught'의 페인팅.

갤러리 관계자의 말로는 작가가 스코틀랜드 출신이라
자연, 동물을 작품의 주 소재로 삼는다고 한다.


Wild Glory by Louise McNaught

이날 기분이 그저그런 상태로 찾아갔었는데,
이 사슴을 보는 순간 마음이 평온해졌다.
뭔가 의연한 눈빛과 네온 색감에 쿨링 & 힐링되는 느낌이랄까? (횡설수설)

우리집 거실의 하얀 벽면을 생각하며 구입할까말까 몇번이나 고민했는데
언제 다시 서울로 돌아가야할지 모르는 신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결국 포기 ㅜㅜ



건물 한켠에선 너무나도 귀엽게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 진행 중~~~
고사리같은 손으로 너도나도 꼬물꼬물 화가놀이 중인데
뒤에서 관찰한 결과 아이들 실력들이 썩 괜찮았다! ㅎㅎ





이런 교육 프로그램 외에도
네스프레소에서 프로모션하는 프리 커피도 마실 수 있고,
3층에는 푸드 코트랑 바도 있어서 매우 캐주얼한 분위기로 관람할 수 있었다.

다음 이벤트는 20-23 Nov. 2014 예정!
그때까지 열심히 저축을 해야겠다.


http://affordableartfair.com/singapore




Wednesday, June 11, 2014

[Link] What Country in the World Best Fits Your Personality?




Wow, in my case, Brazil!!!!!!!!


It says to me,

"You are an adventure enthusiast, who likes to party, and enjoy a wild night out.
You appreciate a culture with a vivacious lifestyle.
You are drawn to warm climates, and love being near the water.
Sitting at home is not your style.
You'd rather be doing something active or walk around the city with friends.
You are fed by good conversation and have a strong personality.
Your motto in life is, "Life is for living"
and in Brazil you are surrounded by others who share your passion."


I think it's pretty close to express my charater. 
So my next step would be Brazil? :)))))

Try yours!

Monday, June 9, 2014

[Link] 30 of Our Favorite Egg Recipes by Bon Appétit




As a huge egg-lover, need to try to cook some recipes in here!











Take a look more details by clicking the link below ;)

[Place] Southern Ridges Part 3: Henderson Waves




Hort Park - Telok Blangah Hill Park - Henderson Waves
Southern Ridges 그 세번째 코스!



3. Henderson Waves

274m의 길이, 36m의 높이로 싱가폴에서 가장 높은 보행자 전용 브릿지!

건축이나 조경 잡지에서 정말 많이 보던 곳이었는데 실제로 봐도 매우 인상적이다.
독특한 뼈다구 비주얼의 웨이브 구조물도 그렇고,
구조이면서도 쉘터가 되는 디자인 그렇고.

두 공원을 연결하는 브릿지 자체도 곡선, 쉘터도 곡선, 높낮이도 곡선, 몽땅 곡선!
그래서 더 강렬하고 인상적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곳은 낮보다 해질 녘에 가서
쉘터 아래 누워서 뒹굴뒹굴 시원한 음료수 마시며 수다떨면 제맛!

낮에는 너무 덥기도 하고, 또 이곳에서 바라보는 저녁 풍경이 아름답기도 하고,
조명이 저녁 7시에 켜지는데 아주 운치있다.






마지막 사진에 저~~~ 멀리 왼쪽에 보이는 독특한 외관의 빌딩은
싱가폴에서 가장 비싼 럭셔리 콘도미디엄 Reflections at Keppel Bay.
뉴욕의 One World Trade Center, 베를린과 코펜하겐의 Jewish Museum 등을 설계한
그 유명한 Daniel Libeskind가 디자인했다고 한다.

(그러고보면 싱가폴에는 유명한 건축가의 건물들이 진짜 많다.
Daniel Libeskind, Foster + Partners, Safdie Architects, Maki and Associates,
OMA, Ole Scheeren, WOHA, Kenzo Tange, Zaha Hadid, UNStudio 등등.
조만간 싱가폴 건축 투어도 해봐야지!)


아래에서 바라본 Henderson Waves. 멋지다~~~






LED Light from 7pm to 2am daily




[Place] Southern Ridges Part 2: Forest Walk in Telok Blangah Hill Park




Hort Park - Telok Blangah Hill Park - Henderson Waves
Southern Ridges 그 두번째 코스!



2. Forest Walk in Telok Blangah Hill Park

아무리 Garden City라고 하지만 싱가폴엔 정말 나무가 많다. 그것도 엄청 큰!
(개인적으로 나는 싱가폴을  Jungle City라고 부른다. ㅎㅎ)

Forest Walk는 이 정글숲(?) 사이를 관통하는  브릿지를 걷게 되는데
도심 속에서 이렇게 숲속을 거닐 수 있다니,
정말 굉장히 리프레쉬되는 기분이었다! Yay~~~~~










브릿지는 육각형의 철제 타일로 이루어져 있는데
구멍 뽕뽕 아래가 내려다보여서 정말 밀림 위를 걷고 있는 기분이 든다.
하지만 비오면 미끄러우니 조심!




싱가폴 국민 스포츠 조깅을 여기서도... 대 다 나 다!!!



싱가폴에서 지낸 날 중에 모기에 제일 많이 물린 날이 바로 이날, 이곳!
그 강도도 강력했다. ㅜㅜ
모기퇴치 스프레이는 필수!


예전에 캄보디아 갔을 때도 밀림스러운 환경을 경험해보긴 했지만
싱가폴의 느낌은 그와는 또 다르다.
밀림이긴 한데 정리정돈이 엄청 잘 되어있는? ㅎㅎ

아무튼 여기는 매우 강추!!!